📐 지수는 어떻게 계산될까? 쉽게 이해하는 지수 공식
안녕하세요! 😄 오늘은 “지수는 어떻게 계산되는 걸까?” 하는 궁금증을 풀어볼 시간이에요.
뉴스에서 “코스피가 2,500을 돌파했습니다!” “나스닥이 1% 상승했습니다!” 이런 말 자주 듣잖아요?
그런데 도대체 저 숫자들은 어떻게 계산해서 나오는 걸까? 지금부터 아주 쉽게, **수학 시간처럼!** 설명해드릴게요 ✨
✅ 주가지수 계산의 기본 원리
주가지수는 간단히 말해, 여러 기업의 주식 가격을 하나의 숫자로 요약한 값이에요.
그런데 그냥 단순히 평균을 내는 건 아니고, 기업의 **규모나 영향력**을 반영해서 계산한답니다!
📌 시가총액이란?
먼저 중요한 개념! 바로 시가총액이에요.
시가총액 = 주식 가격 × 발행된 주식 수
예를 들어:
- 삼성전자 주식 1주 가격: 7만 원
- 발행된 주식 수: 100억 주
시가총액 = 7만 원 × 100억 = 700조 원!
즉, 이 회사가 주식 시장에서 얼마나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 보여주는 숫자예요.
📊 시가총액 가중 방식 (코스피, S&P500 방식)
우리나라의 코스피, 미국의 S&P500은 모두 이 방식으로 지수를 계산해요!
간단히 말해, 시가총액이 큰 회사가 지수에 더 큰 영향을 줘요.
예:
- 삼성전자 시총: 700조
- 롯데칠성 시총: 5조
같은 1% 상승이라도, 삼성전자가 오르면 지수가 확! 올라가고 롯데칠성이 오르면 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작아요.
📏 주가 가중 방식 (다우지수 방식)
반면, 다우존스 지수는 주가가 높은 회사가 지수에 더 영향을 줘요.
이건 시가총액이 아니라, 1주당 가격이 높은지 낮은지로 계산해요!
예:
- 회사 A: 주가 300달러
- 회사 B: 주가 100달러
둘 다 1% 올라도, A가 다우지수를 3배 더 많이 움직여요.
조금 불공평해 보일 수도 있지만, 오래된 계산 방식이에요!
🧮 간단 공식 요약
방식 | 공식 | 사용 지수 |
---|---|---|
시가총액 가중 | (종목 시총 합계 ÷ 기준 시총) × 기준값 | 코스피, S&P500, 나스닥100 |
주가 가중 | 종목 주가 합 ÷ 조정값 | 다우존스 |
📌 기준값은 보통 100이나 1000에서 시작해서 올라가요!
💡 참고! 지수 계산 시 고려되는 요소
- 종목 변경: 새 기업이 들어가고, 퇴출되기도 해요.
- 주식 분할이나 액면병합이 있을 때 지수 보정을 해줘요.
- 기준 시점을 정해두고 그 이후의 변화만 비교해요.
🎯 정리해요!
- 주가지수는 여러 회사의 주식 가격을 하나로 모은 ‘시장 평균 점수’예요!
- 시가총액이 클수록 지수에 더 많은 영향을 줘요.
- 코스피, S&P500은 시가총액 가중 방식, 다우지수는 주가 가중 방식이에요.
📚 다음 편 예고
다음 9편에서는 이제 투자 실전으로! “ETF란 무엇인가?”에 대해 알려드릴 거예요! ETF는 지수를 따라가는 아주 똑똑한 투자 방법이랍니다 💼
👉 기대해 주세요!
'재태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📘 주식이 처음이야? 중학생도 이해하는 주식 지수 이야기 — 10편 (1) | 2025.04.24 |
---|---|
📘 주식이 처음이야? 중학생도 이해하는 주식 지수 이야기 — 9편 (1) | 2025.04.23 |
📘 주식이 처음이야? 중학생도 이해하는 주식 지수 이야기 — 7편 (3) | 2025.04.21 |
수익률도 지키고, 리스크도 줄이는 삼성 버퍼형 ETF의 정체는? (1) | 2025.04.20 |
📘 주식이 처음이야? 중학생도 이해하는 주식 지수 이야기 — 6편 (1) | 2025.04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