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재태크

📘 주식이 처음이야? 중학생도 이해하는 주식 지수 이야기 — 8편

by 스마트 세이버 2025. 4. 22.

📐 지수는 어떻게 계산될까? 쉽게 이해하는 지수 공식

안녕하세요! 😄 오늘은 “지수는 어떻게 계산되는 걸까?” 하는 궁금증을 풀어볼 시간이에요.

뉴스에서 “코스피가 2,500을 돌파했습니다!” “나스닥이 1% 상승했습니다!” 이런 말 자주 듣잖아요?

그런데 도대체 저 숫자들은 어떻게 계산해서 나오는 걸까? 지금부터 아주 쉽게, **수학 시간처럼!** 설명해드릴게요 ✨


✅ 주가지수 계산의 기본 원리

주가지수는 간단히 말해, 여러 기업의 주식 가격을 하나의 숫자로 요약한 값이에요.

그런데 그냥 단순히 평균을 내는 건 아니고, 기업의 **규모나 영향력**을 반영해서 계산한답니다!


📌 시가총액이란?

먼저 중요한 개념! 바로 시가총액이에요.

시가총액 = 주식 가격 × 발행된 주식 수

예를 들어:

  • 삼성전자 주식 1주 가격: 7만 원
  • 발행된 주식 수: 100억 주

시가총액 = 7만 원 × 100억 = 700조 원!

즉, 이 회사가 주식 시장에서 얼마나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 보여주는 숫자예요.


📊 시가총액 가중 방식 (코스피, S&P500 방식)

우리나라의 코스피, 미국의 S&P500은 모두 이 방식으로 지수를 계산해요!

간단히 말해, 시가총액이 큰 회사가 지수에 더 큰 영향을 줘요.

예:

  • 삼성전자 시총: 700조
  • 롯데칠성 시총: 5조

같은 1% 상승이라도, 삼성전자가 오르면 지수가 확! 올라가고 롯데칠성이 오르면 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작아요.


📏 주가 가중 방식 (다우지수 방식)

반면, 다우존스 지수주가가 높은 회사가 지수에 더 영향을 줘요.

이건 시가총액이 아니라, 1주당 가격이 높은지 낮은지로 계산해요!

예:

  • 회사 A: 주가 300달러
  • 회사 B: 주가 100달러

둘 다 1% 올라도, A가 다우지수를 3배 더 많이 움직여요.

조금 불공평해 보일 수도 있지만, 오래된 계산 방식이에요!


🧮 간단 공식 요약

방식 공식 사용 지수
시가총액 가중 (종목 시총 합계 ÷ 기준 시총) × 기준값 코스피, S&P500, 나스닥100
주가 가중 종목 주가 합 ÷ 조정값 다우존스

📌 기준값은 보통 100이나 1000에서 시작해서 올라가요!

 


💡 참고! 지수 계산 시 고려되는 요소

  • 종목 변경: 새 기업이 들어가고, 퇴출되기도 해요.
  • 주식 분할이나 액면병합이 있을 때 지수 보정을 해줘요.
  • 기준 시점을 정해두고 그 이후의 변화만 비교해요.


🎯 정리해요!

  • 주가지수는 여러 회사의 주식 가격을 하나로 모은 ‘시장 평균 점수’예요!
  • 시가총액이 클수록 지수에 더 많은 영향을 줘요.
  • 코스피, S&P500은 시가총액 가중 방식, 다우지수는 주가 가중 방식이에요.


📚 다음 편 예고

다음 9편에서는 이제 투자 실전으로! “ETF란 무엇인가?”에 대해 알려드릴 거예요! ETF는 지수를 따라가는 아주 똑똑한 투자 방법이랍니다 💼

👉 기대해 주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