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ACD 지표는 이동평균선을 기반으로 추세와 모멘텀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강력한 보조지표입니다. 골든크로스, 시그널선, 히스토그램까지 쉽게 설명해드릴게요!
🚀 MACD, 이름은 낯설어도 성능은 진짜입니다!
MACD는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의 줄임말이에요. 우리말로는 ‘이동평균 수렴·확산 지표’라는 말이지만, 너무 어려워 보이죠? 쉽게 말하면 추세와 속도(모멘텀)를 동시에 보여주는 보조지표입니다. 타이밍 포착의 끝판왕으로 불리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!
📐 MACD의 구성요소 – 3가지만 알면 끝!
- MACD선: 단기 EMA(12일) - 장기 EMA(26일)
- 시그널선: MACD선의 9일 EMA
- 히스토그램: MACD선 - 시그널선 (두 선의 간격 시각화)
👉 MACD선과 시그널선이 교차할 때가 가장 중요한 시점이에요!
⚡ 골든크로스 vs 데드크로스 – 여기서도 등장!
- MACD 골든크로스: MACD선이 시그널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 → 매수 신호
- MACD 데드크로스: MACD선이 시그널선을 위에서 아래로 돌파 → 매도 신호
일반 골든/데드크로스보다 더 선행적인 경우가 많아서, 트레이더들이 진짜 많이 씁니다. 게다가 히스토그램까지 보면 힘이 실리는지까지 알 수 있어요!
📈 실전 예시: 삼성전자 MACD 분석해보기
1. MACD가 - 아래에서 위로 시그널선을 뚫고 올라오고
2. 히스토그램도 음 → 양으로 전환되며 높아진다면?
➡️ 상승 추세 시작 가능성 UP!
반대로 시그널선을 위에서 아래로 뚫는 순간이면?
➡️ 하락 전환 신호로 해석해요.
🎯 MACD의 장점은?
- 추세와 속도를 동시에! 단순한 이동평균보다 정교해요.
- 변화 시점 포착이 빠름: 주가 전환 타이밍을 빠르게 감지
- 히스토그램으로 힘까지 측정: 상승/하락 에너지 체크 가능
⚠️ MACD 사용 시 주의사항
- 횡보장에선 약해요: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으면 신호가 잘못 나올 수 있어요.
- 지표만 맹신 금지: 거래량, RSI, 이동평균선과 함께 보면 더 좋아요.
- 골든크로스=무조건 매수 아님: 추세 확인이 중요해요!
🛠️ 세팅 방법은?
트레이딩뷰에서 MACD 검색 후 바로 추가하면 기본값(12, 26, 9)으로 설정돼요.
HTS/MTS 앱에도 대부분 MACD 지표가 포함돼 있으니 ‘지표 추가’에서 찾아보세요.
📌 핵심 요약
- MACD는 이동평균 기반 + 추세 & 모멘텀 분석 지표
- MACD선과 시그널선의 교차가 매수/매도 타이밍
- 히스토그램은 강도(힘)를 시각화한 도구
- 신호가 빨라서 단타족에게도 인기 많은 지표!
📢 다음 편 예고
다음 4편에서는 RSI(Relative Strength Index)를 깊이 있게 파헤쳐볼게요! "과매수? 과매도? 이걸 어떻게 아는 거지?"
👉 RSI 지표 하나면 감 잡을 수 있어요.
다음 편도 기대해주세요!
💬 MACD에 대해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
📌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&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😄
'차트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점인지 저점인지, 볼린저 밴드가 알려준다 (0) | 2025.04.30 |
---|---|
RSI보다 빠르다! 스토캐스틱으로 타이밍 잡는 법 (0) | 2025.04.29 |
지금 살까 말까? RSI 하나면 판단 끝! (1) | 2025.04.28 |
골든크로스? 데드크로스? 이동평균선만 알면 타이밍 고수! (0) | 2025.04.26 |
매수 타이밍, 차트가 알려준다?! 보조지표 완전 기초 가이드 (0) | 2025.04.25 |